대한수면연구회에 따르면 10명 중 3명 정도가 불면증의 증상을 보인다고 합니다. 독실아민은 수면중추를 자극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의약품으로 안전하고 중독성 없이 복용할 수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인 독실아민의 수면 유도 기전
체내에서 히스타민은 시상하부의 조면유두체핵에서 만들어져 분비됩니다. 조면유두체핵의 히스타민분비 뉴런은 깨어있는 동안 활발하게 히스타민을 분비하지만 수면상태에서는 히스타민을 분비하지 않습니다. 분비된 히스타민은 대뇌피질 세포의 히스타민1 수용체에 결합하여 대뇌를 활성화시킵니다.
독실아민은 작고 지용성인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뇌혈관장벽(BBB)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뇌혈관장벽을 통과한 독실아민은 히스타민이 대뇌피질 H1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뇌의 각성을 방해하고 졸음을 유도하는 원리입니다.
독실아민 외에 수면 유도작용을 하는 다른 약물
독실아민은 신경과민 등으로 인해 잠이 오지 않을 때, 1일 1회 25mg을 수면 30분 전에 복용합니다.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은 대표적인 1세대 항히스타민으로 알레르기 뿐 아니라 수면유도제로도 널리 사용됩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1세대 항히스타민들은 일반적으로 지용성을 가지고 있어 뇌혈관장벽을 통과하여 졸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디펜히드라민은 수면 30분 전에 50mg을 복용하고, 과도한 진정작용이 나타날 경우에는 25mg를 복용합니다.
노인들이 수면유도제를 복용할 때 주의할 점들
많은 노인들이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고 수면유도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독실아민과 같은 항히스타민제는 강한 항콜린 이상반응으로 인해 인지장애, 기억장애가 심해지는 경우가 있어 장기간 계속해서 복용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약을 복용하는 경우 입마름, 시야 혼탁, 변비 등의 이상반응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배뇨곤란을 느끼는 경우도 있으므로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배뇨곤란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독실아민은 반감기가 약 10시간 정도로 오래 지속되어 기상 시 머리가 무겁고 잠이 덜 깬 몽롱한 느낌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디펜히드라민의 반감기는 1~4시간 정도로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2주 이상 복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장기간 복용하더라도 중독성이나 금단증상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건강 및 의약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맥성 혈전색전증 (venous thromboembolism) (0) | 2024.08.02 |
---|---|
복통과 디싸이클로민(Dicyclomine) (0) | 2024.08.01 |
가래를 제거하는 아세틸시스테인(Acetylcystein) (0) | 2024.07.29 |
소화제와 소화 효소 (1) | 2024.07.24 |
당뇨 환자의 발 관리 (0) | 2024.07.24 |